연혁
- 1923.06.01 : 여수항 개항
- 1967.03.30 : 1종항 지정
- 1991.10.14 : 무역항으로 지정
시설현황 및 능력
- 안벽 : 692m (크루즈 부두 400m, 국제여객부두 292m)
- 물양장 : 2,511m
- 잔교 : 16기
- 방파제 : 2,573m
- 접안능력 : 2선석(여객 포함)
규모
- 항만구역 : 4,990천㎡ (해상 4,706천㎡, 육상 284천㎡)
- 조위 : 간만의 차 3.616m
- 설계파고 : 동방파제(5.67m), 서방파제(5.29m),북방파제(2.2m)
항세
- 접안능력 : 크루즈부두(15만톤급), 국제여객부두 (15천톤급)
- 항만기능과 도시기능이 조화를 이룬 환경친화적인 항만개발
항만육성 기본방향
- 친수공간 및 크루즈 시설 정비·확충을 통한 남해안 해양관광 거점항으로 육성
- 역무선 및 관공선 전용시설 확보로 안정적인 역무서비스 제공
- 다도해, 한려수도, 제주도를 연계하는 남부 해상관광 거점항으로 육성
항만의 관리·운영계획
- 항만기능 재정립
- 화물처리기능의 광양항 이전이 완료됨에 따라 여수세계박람회 개최 후 친수공간 및 해양관광자원으로 지속적인 활용 및 관리
- 분산되어 운영중인 관공선 및 역무선들은 여수신북항 확충 후 효율적인 역무서비스 제공을 위해 집적화하여 운영
- 여수구항 및 여객선부두는 현기능을 유지하고, 친수시설을 계획하여 여수신항과의 친수벨트라인 형성
- 북방파제 내측의 개발되어 운영중인 국제 크루즈부두와 여객부두의 이용성 제고를 위해 시설 확장 및 부잔교 설치
- 항만운영 및 관리
- 신항내 여객부두 및 크루즈 전용부두 운영을 통해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하고 엑스포시설과 연계한 해양관광 활성화 거점으로 육성
- 신북항은 광양항을 지원하는 관공선 및 역무선 전용항만으로 운영하고 직배후권역 발생 화물 처리를 위한 소규모 물양장 운영
- 여수구항의 연안여객터미널 운영을 통해 지역 주민 어업활동 및 연안여객선의 원활한운항 지원
- 항만 환경개선
- 해상교통 여객의 편의제공을 위한 터미널주변 환경정리를 추진
- 구항의 항내 수제선 정비로 소형선박 이용도 제고 및 친수공간으로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