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PORT 동북아 물류 중심, 여수광양항만공사가 선도하겠습니다. 

잡화(雜貨)
상자, 통, 마대 등으로 포장된 선하화물(船荷貨物). 보통 중량은 1/4t 이하의 것이 많다.
잡화부두(雜貨埠頭)
주로 잡화를 배에 싣고 내리는 부두
장비능력
장비능력은 C/C의 처리실적과 제원상의 처리능력과의 차이를 비율로 표시하고 이를 비교·평가하는 요소임. 이는 장비 제원상의 처리능력과 실제 처리실적과의 관계를 평가하여 장비운영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자료로 활용되며,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음\n?장비능력 = ?장비당 처리물동량 ÷ 제원상의 처리능력?
재화용적톤수(載貨容積-數)
화물 선창내 화물을 탑재할 수 있는 총용적. 국제적으로 ft³으로 표시하나 우리나라는 미터법에 따라 ㎥로 표시하고 있다. 재화용적에는 적재 화물의 종류에 따라 grain capacity와 bale capacity의 두 가지 측정방법이 있다.
재화중량톤수(載貨重量-數)
배의 만재상태 홀수에 대한 배수량과 빈 배 상태(light condition)의 홀수에 대한 배수량과의 차. 즉 배에 최대로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연료, 선용품 등의 총 중량을 나타내며, 선박의 매매, 용선료의 기준 등 해운 경영에 주로 사용됨.
재화톤수(載貨톤數)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량을 표시하는 수. 중량으로 나타내는 방식과 용적으로 나태는 식이 있다. 재화중량톤수(D/W)는 선박이 만재흘수선에 이르기까지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을 톤수로 나타낸 것이다. 재화용적톤수는 선박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장소의 용적을 40ft³로 나누어서 구한다.
적재중량톤수(積載重量-數)
화물을 소정의 흘수선(吃水線)까지 실었을 때의 화물의 중량을 표시한다. 배수 톤수에서 선체 및 기관의 중량을 뺀 값으로서 재화중량 톤수라고도 하며 D/T로 표기한다. 그 선박에 실을 수 있는 화물의 중량, 선박 가격의 기준에 활용된다.
적재하중(積載荷重)
일반적으로 에이프런, 헛간, 창고 등에 적재되는 잡하 등의 하중을 말한다. 또, 겨울철 눈이 많은 지역에서는 에이프런 위에 쌓인 눈도 적재하중이 되는 경우가 있다.
전빈(前濱)
간조정선(干潮汀線)으로부터 경빈(經濱)의 전단(前端)가지의 부분으로 항상 파에 씻기고 있다.
접안(接岸)
① 선박이 안벽에 다가가는 것 ② 선박이 안벽 전면이나 박지에 정박하는 것

QR CODE

오른쪽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이 QR Code는 현재 페이지 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현재페이지로 연결되는 QR코드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담당자 :
경영지원부 김병재  
전화 :
061-797-4473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새창으로 열립니다.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원저작자를 밝히는 한 해당 저작물을 공유 허용, 정보변경 불가, 상업적으로 이용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