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여건
- 천혜의 조건을 갖춘 항만으로서 방파제 건설없이도 정온수역 유지
- 항만구역 116.4㎢ (해상 106.7㎢, 육상 9.7㎢)
- 철강, 석유화학, 컨테이너 등 복합 화물 취급 및 넓은 배후단지를 보유하고 있어 21세기 동북아 물류중심기지로 성장 가능
진입항로
항만내 7개 항로
구분 | 길이(m) | 수심(m) | 폭(m) | 이용부두 | 비고 |
---|---|---|---|---|---|
제1항로 | 3,074 | 28 | 700-1,200 | 여수(산단) 광양 공동 | |
제2항로 | 1,852 | 15 | 400 | 여수(산단) | |
제3항로 | 3,290 | 22 | 380-500 | 광양지역 | |
제4항로 | 3,150 | 16 | 450 | " | |
하동항로 | 2,900 | 18.5 | 300 | 하동화력 | |
율촌항로 | 2,100 | 5~7 | 200 | 현대하이스코 | |
시멘트부두 진입 항로 | 3,800 | 9 | 100 | 시멘트부두 |
특정해역
남해군 남면, 서면 앞바다, 여수시 일부 (길이 35.7km, 폭 1.9~7.6km, 면적 186㎢, 수심 13~41m)
접안능력
- 101선석(여객 및 유류 포함)
하역능력
- 188,376천RT/년 (3,840천TEU/년)
정박능력
여수항 2개소, 광양항 13개소, 항계 밖 정박지 8개소
물동량 처리실적 및 전망
(단위 : 천톤(RT))
구분 | 2000 | 2005 | 2010 | 2015 | 2020 |
---|---|---|---|---|---|
전국 | 836,722 | 988,849 | 1,209,790 | 1,539,540 | 1,808,181 |
부산항 | 117,229 | 217,217 | 262,070 | 339,288 | 416,721 |
광양항 | 139,476 | 177,483 | 206,691 | 266,437 | 321,374 |
울산항 | 151,067 | 162,414 | 171,664 | 228,809 | 252,611 |
인천항 | 120,399 | 123,453 | 149,785 | 156,712 | 184,979 |
평택당진항 | 31,122 | 42,514 | 76,681 | 134,944 | 158,952 |
포항항 | 51,134 | 54,692 | 63,108 | 75,271 | 84,695 |
※ 출처 :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402호 (2011.7.)
항만육성 기본방향
- 광양항은 산업항만 중심으로 지정학적 입지가 우수하여 국가경제성장을 견인하는 국내 최대 산업클러스터 항만으로 육성
- 급증하는 광양항 자동차 화물의 원활한 처리를 위해 컨테이너부두 일부를 국제 자동차 환적 중심기지로 활용
- 선박 초대형화에 대응한 항만서비스 및 컨테이너부두 경쟁력 강화
- 대형선박의 안전한 입·출항을 위해 항입구 특정해역 개선
- 초대형 선박 입항에 대응하여 컨테이너 크레인 개선으로 컨부두 경쟁력 확보
항만의 관리·운영계획
항만기능 재정립
- 컨테이너부두 이용 효율성 제고를 통해 유휴시설에 대한 최적 기능 배치
- 부두 활성화가 저조한 시설의 특화 이용을 통해 부두의 우선적 활성화 추진 - 지구별, 부두별 물동량 처리변화 및 특성을 기준으로 한 최적배치로 항만생산성 및 서비스 제고
- 산업단지, 석유화학단지 지원항만은 기능 재조정 및 유지
구분 | 취급화물 | ||
---|---|---|---|
현행 | 2020년 | ||
광양 | CTS반출부두 | 석탄 | 기타 광석 |
원료부두 (20만×2) |
석탄 | 철광석 | |
1단계 (#3, #4) | 자동차 | 잡화(자동차) | |
3-2단계 | 다목적(잡화) | 자동차 | |
여천 | 사포 1부두 | 화학공업생산품 | 유류 |
사포 2부두 | 화학공업생산품 | 기타 광석 | |
낙포부두 (3천×1, 2만×1) |
화학공업생산품 | 기타 광석(3만×1) | |
낙포부두 (5만×1) |
화학공업생산품 | 기능폐쇄 | |
석유화학부두 | 화학공업생산품 | 유류 |
항만운영 및 관리
- 항만배후단지내 물류기업 유치 및 배후산업단지 추가 확충 지원 등을 통해 신규 컨테이너 물동량을 창출하여 컨테이너 부두 활성화에 주력
- 산업지원항은 수요자 지향형으로 운영하여 화물 처리에 차질이 없도록 운영
- 제3투기장은 산업단지 및 항만재개발로 항만권역의 경제발전 거점으로 육성
- 광양 3-2단계 부두는 자동차부두로 활용하고 준공 전 자동차 화물처리를 위해 1단계 #3, #4번 부두의 활용도 제고
- 항만배후단지에 실질적 화물 창출 기업을 유치하고, 항만과 연계하여 화물이 처리될 수 있도록 유도
- 낙포부두, 중흥부두 등 기존 액체화물 처리부두의 Renewal을 통해 석유화학제품 처리 능력을 개선
- 항로 중심을 통해 대형 철광석 및 석탄 운반 선박의 안전한 입출항 지원 및 향후의 선박 대형화에 대응
- 물양장, 공용부두 등은 화물 처리 특성 및 이용 여건 등을 반영하여 중장기적으로 전용부두 및 일반부두로 전환 검토
항만 환경개선
- 화물 종류별 선박의 대형화에 대응한 항행 안정성 및 운영 여건 개선을 위해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인 항로 확대 및 증심
- 광양항 제철부두 및 컨테이너부두의 체선 및 비상시에 대비하여 대형 선박의 정박을 위한 정박지 확충
- 광양항 항만배후단지 배수로 정비를 통해 물류와 친수를 조화하여 도시기능 연계